4) 글 쓸 때 누르는 정도 연필을 가지고 얼마나 힘을 주어 그림을 그렸는가를 나타내는 필기구 압력은, 피검자의 에너지 수준, 긴장 정도, 공격성 및 충동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획을 힘주어 그리는 아이는 그렇지 않은 아이들보다 더 자기 주장적이며 충동적이지만, 약하게 그리는 아이는 에너지 수준이 낮거나 억제적이고 억압적이다. (1)필기구 압력이 강할 경우 힘을 주어 눌러서 그린 경우 생각할 수 있는 가능성은 먼저 현재 상당한 긴장감과 불안감을 느끼고 있거나, 성격적으로도 스트레스 상황에 부닥치면 쉽게 불안해지고 위축되는 경향이 있거나, 성격이 단호하고 자기주장 적이고 야심이나 포부 수준이 높거나, 편집증적인 경향이 있거나, 공격적이고 그러한 공격성이 외현화되는 스타일이거나, 충동적인 경향..
2) 그림의 크기 그림을 얼마나 크게 혹은 작게 그렸는가 하는 것은 피검자의 자기존중감, 자아팽창 여부, 자기에 대한 과대평가 여부 등을 나타낼 수도 있고, 또는 공격성, 충동적인 성향, 행동화 가능성에 대한 단서를 제공해 줄 수도 있다. (1)보통 크기 보통은 종이 크기의 약2/3에 해당하는 정도로 그리며, 이는 피검자가 자기 자신에 대해 느끼는 적절감이 적정한 수준임을 의미할 수 있다. 코훗의 자기-심리학적 용어로 표현하자면 이 사람의 자기는 적절한 수준의 자신감과 과시성을 가지고 있다고 추론할 수 있는 것이다. (2) 크게 그린 경우 그림을 종이에 꽉 찰 만큼 지나치게 크게 그리거나 때로는 종이 크기가 모자랄 정도로 과도하게 크게 그려 책상까지 선을 긋고 전체를 다 그리지 못할 경우도 있다. 이는 ..
구조적 해석방법이란 그림의 여러 가지 구조적 요소들, 예를 들어 그림의 크기, 그림을 그려 나간 순서, 그림을 종이의 어느 위치에 그렸는가 하는 것과 같은 요소들이 무엇을 의미하는가를 하나하나 고려하는 해석방법이다. 즉 각 요소의 특징이 의미할 수 있는 바가 무엇인지에 대한 가설들을 도출하고, 그것이 다른 구조적 요소에 근거했을 때도 일치하는가, 그림이 주는 인상과도 일치하는가, 다른 심리 검사자료나 임상적 관찰, 면담자료와도 일관되는가 등에 근거하여 가설을 채택하거나 기각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그림을 과도하게 크게 그렸다면 첫째, 경조증 상태에서의 자아팽창일 수 있고, 둘째, 과도하게 성취 수준이 높을 수 있고, 셋째, 충동 조절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는 등의 가설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이 가..
4. 4단계: 시각적 도식의 발달 시기 6~9세 무렵이 되면 아동의 미술적 표현능력이 급격히 발달하게 되고, 여러 가지 복잡한 특성들의 그림이 나타나게 된다. 피아제의 분류상 전조작기 후반과 구체적 조작기 초반에 해당하는 시기로, 아동은 보존과 무게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항목들을 순서대로 배열하며 개념적으로 조직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물을 지각하는 데 있어 자기중심성이 점차 줄어들어, 사물들을 자기 자신과의 관련성 속에서보다는 사물들 상호 간의 관련성 속에서 표상할 수 있게 된다. 이 시기가 되면 사람, 동물, 집, 나무 등 여러 사물에 대한 시각적 상징과 사실적 도식이 보다 정교하게 발달하여, 아동은 이를 토대로 보다 사실적인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색깔과 사물 간의 관계를 이해함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