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집 그림의 구조적 해석
집은 가족이 함께 모여서 사는 공간이다. 그 때문에 집 그림에는 아동이 내면에 가지고 있는 가족, 가정생활, 가족관계, 가족 구성원 각각에 대해 가지고 있는 표상, 생각, 그와 관련된 여러 감정, 소망들이 투영되어 나타나게 된다. 또 집은 일차적으로 사는 곳'이기 때문에, 그 사람의 자아, 그 사람이 현실과 관계를 맺는 정도와 그 양상, 그리고 그 개인만의 내적 공상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정보를 줄 수 있다. 다음에서는 집 그림의 각 개별적 요소의 의미를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지 구조적 해석에 필요한 여러 가지 가능한 가설들을 제시하였다.
1)문
문은 집과 외부 세계를 연결하는 통로이다. 그 때문에 집 그림에서 문은 타인이 자신의 삶에 들어오도록 허용하는 것, 그리고 자신이 세상으로 나아가는 통로를 의미하므로, 세상과 자기 자신 간의 접근 가능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접근 가능성은 여러 가지 심리적인 특성이나 상태를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친밀한 관계에 대한 욕구나 소망 정도, 친밀한 관계 형성에 대해 느끼는 불안감이나 두려움, 거부감, 양가감정, 자신을 공개하는 것에 대한 불편감이나 긴장감, 친밀한 관계 형성에 필요한 공감 능력, 타인의 인정이나 애정에 의존적인 정도 및 이에 대한 욕구와 소망, 실제로 얼마나 현실과 세상과의 접촉이 되고 있는가, 얼마나 고립되고 위축되어 있는가 등이다. 이는 창문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쪽으로 여는 문, 적당한 크기로 손잡이가 그려지고, 장식을 너무 많이 그리지 않고, 선의 질이나 음영의 정도가 적당하고, 집의 바닥 선과 높이가 같으며, 집에서 가장 큰 벽면에 그리고, 문이 다른 화분 같은 것으로 가려져 있지 않도록 그릴 때, 이러한 해석이 적절하다고 추론할 수 있다.
(1) 문의 크기
문을 너무 작게 그렸다면, 이는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싶은 욕구도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이에 대한 거부감, 두려움, 불편감 등의 양가감정을 느끼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 다른 사람이 다가오는 것이 두렵고, 자신의 경계가 침범당하거나 남이 자신을 너무 많이 알게 될까 봐 두려워함을 의미할 수도 있다. 실제로 호혜적인 상호작용을 맺기 어렵고, 사회적인 관계 자체가 적고 위축되어 있거나, 대인관계능력이나 기술이 부족함을 반영할 수도 있는 것이다. 반대로 문을 지나치게 크게 그렸다면 이는 사회적 접근 가능성이 과다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사회적인 인정이나 수용에 지나치게 의존적이거나, 타인과의 친밀한 관계에 지나친 비중을 두거나 혹은 타인의 인정이나 수용에 대해 과도하게 예민하고 불안해하지만 이를 과잉 보상하고 싶어 하는 등의 가설을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이다.
(2) 문이나 문의 손잡이를 빠트린 경우
외부와의 접근 가능 통로를 빠뜨리고 그린 경우는 다른 사람이 자기 자신의 삶, 세계 안에 들어오는 것에 대해서, 또 자기 스스로 세상 속으로 나아가는 것에 대해 불안감, 혹은 저항감을 느끼며, 자기만의 세계에 고립되고 위축되어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문은 그렸으면서도 실제로 문을 열기 위해 필요한 문손잡이를 빠뜨리고 그렸다면, 이렇게 타인에게 자기를 열고 혹은 자신이 다가가는 데 대한 욕구가 있지만 어떤 이유에서든 양가감정을 느끼고 있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3) 세부적인 장식
문에 손잡이 외에 우편함, 초인종과 같은 세부적인 것을 더 그려 넣었다면 이는 타인과의 관계나 세상과의 접근 가능성에 과도하게 집착함을 의미할 수도 있다. 대인관계, 애정이나 인정과 관련하여 과도한 욕구가 있을 수도 있는 것이다. 또, 이러한 것을 너무 자세하고 꼼꼼하게 그렸다면 이러한 욕구와 관심을 강박적으로 보상하고 있을 가능성, 혹은 자신이 이렇듯 사람들과 좋은 관계를 맺고 있다는 데 대한 보상적 과시나 관계의 피상성을 의심해 볼 수도 있다.
(4) 문을 가리거나 마지막에 그린 경우
문 앞에 물건들을 그리는 식으로 문을 가려지게 그렸다면, 이는 세상 및 타인과의 접근 가능성에 대한 여러 가지 부정적 감정들, 혹은 양가감정을 느끼고 있음을 반영할 확률이 높다. 집을 모두 다 그리고 나서 마지막에 문을 그렸다면, 이는 피검자가 최소한의 대인관계 접촉을 하기는 하지만 다소 꺼리고 불편해하는 경향이 있으며, 수줍음이나 사회불안을 느낄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할 수도 있다.
(5) 문의 위치와 개수
현관문 혹은 대문 외에 옆쪽에 문을 하나 이상 더 그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세상과의 접근 가능성에 대한 불편감을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전 한옥처럼 양쪽으로 여는 문을 그린 경우는 이러한 불편감에 대한 과잉 보상성을 의미할 수 있고, 문을 하나 더 그린 경우 자신이 현재 세상과 맺고 있는 관계 통로 및 관계 방식에 대해 불확실 감을 느끼고 있거나 세상으로 나아가는 좀 더 다른 길을 찾고 싶은 소망이 있음을 반영할 수 있다. 또, 대문은 그리지 않고 옆의 쪽문만 그렸다면 세상과의 관계 맺음에 대해 양가감정을 느끼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때로 그림에는 안 그렸지만 뒤에 뒷문이 있다고 말하는 피검자들이 있는데, 이는 이러한 접근 가능성에 대한 거부감이나 두려움, 방어적 경향을 나타낸 것일 수도 있다. 또, 문이 벽 안쪽에 숨겨지게 그렸다면, 이는 다른 사람들이 자신에게 다가오는데 불편함을 느끼고 지나치게 신중하거나, 쉽게 사람을 믿지 못하고 시험해 보는 경향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할 수도 있다.
2) 집과 지면이 맞닿은 선
집과 지면이 맞닿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선을 그리는 경우가 있다. 이 선은 상징적으로 그 사람과 현실과의 접촉 및 그 접촉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정해 볼 수 있다. 또한 현실로부터 떨어져서 공상에 몰입해 있는 정신분열증 환자는 땅에 닿지 않고 공중에 떠 있는 듯한 그림을 그린다. 다시 말해서, 집의 바닥이 땅에 닿아 있는 방식은 안정성, 현실과의 접촉을 나타낸다.
(1) 지면선을 생략한 경우
이 선을 안 그리고도 비교적 집의 밑부분을 안정되게 그린다면 별다른 임상적인 의미를 갖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때로는 이것이 현실과의 접촉에 문제가 있음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
(2) 집의 밑바닥 면은 그렸으나 지면 부분은 없는 경우
이는 외국 연구에 의하면 정서적 불안정감, 때로 현실과의 접촉의 불안정성을 의미할 수 있다고 한다.
'심리학 > 그림을 통한 아동.청소년의 심리진단 및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P 다양한 구조적 해석 - 집(3) (0) | 2022.07.06 |
---|---|
HTP 다양한 구조적 해석 - 집(2) (0) | 2022.07.05 |
아동 그림의 해석-구조적 해석방법(3) (0) | 2022.07.04 |
아동 그림의 해석-구조적 해석방법(2) (0) | 2022.07.04 |
아동 그림의 해석-구조적 해석방법(1) (0) | 2022.07.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