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거기반의 심리치료인 변증법적 행동치료는 경계선성격장애 혹은 정서불안장애를 치료하는 방편으로 시작되었다. 변증법적 행동치료는 기분장애나 자살생각을 치료하거나 자해나 약물남용과 같은 행동패턴을 변화시키기 위한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변증법적 행동치료는 치료자와 내담자가 환자가 현실적 상황 등을 수용하는 것과 변화지향 전략을 다루는 과정으로 진화하였고, 마지막에는 이 둘의 균형을 잡고 둘을 종합하는 것인데, 이는 정명제, 반명제, 합명제라는 이른바 ‘정반합’ 과정으로 구성되는 철학의 변증법 과정과 유사하다. 워싱턴대학교 심리학 연구자였던 리네한은 경계선성격장애 환자와 만성적으로 자살충동을 느끼는 사람들을 치료하기 위하여, 1980년대말 인지행동치료를 개조한 형태로서 이 치료법을 개발하였다..
미래에 대한 병적인 불안과 현재 상황에 대한 과도한 공포로 인하여 일상생활에 장애를 일으키는 정신질환의 일종인 불안장애를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행동치료로 노출 치료 혹은 노출 요법이 있다. 이는 어떤 위험도 유발하지 않고 불안의 근원이 되는 대상이나 환경에 환자를 노출시켜 환자의 고통이나 불안을 없애는 기술이다. 절차상 이 방법은 실험용 쥐 연구로부터 유래한 공포 소거와 유사하다. 여러 연구에서 노출 치료는 범불안장애, 사회 불안장애, 강박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특정 공포증 치료에 효능이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행동주의적 접근이나 인지행동 주의적 접근에 기반하는 노출에 근거한 치료는 급성 스트레스 장애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이행하는 것을 막는 데에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건..
교육 매우 다양한 치료 방법으로 현재 심리 치료자들은 사용한다. 설득, 조건 형성 절차, 정서적 지지, 이완 훈련, 역할 연기, 약물 치료, 집단 치료, 바이오피드백, 등이 있다. 치료 방법의 유형은 약 250여 가지가 있으나 치료에 대한 접근은 크게 세 가지로 행동 치료, 통찰 치료, 생물 의학적 치료 등으로 나눌 수 있다. 1) 행동 치료 행동 치료는 학습 원리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행동 치료자들은 그 행동이 무의식적 갈등 때문인지 혹은 부모의 거부 때문인지에 관해서 관심을 갖기보다는 문제 반응과 부정적 습관을 직접 고쳐주려는 행동 변화를 시도한다. 예를 들어, 병적 도박이 있는 경우 행동 치료자는 환자의 부적응적 행동인 도박 행동의 제거에 초점을 두고, 병적 도박 행동을 제거하기 위한 구체적인 치..
3) 상징 KFD에서 그려진 모든 사물들에 대하여 상징적인 의미를 해석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징의 해석은 과도하게, 혹은 1:1식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되며, 다른 많은 정보를 고려하여 조심스럽게 해석하여야 한다. KFD에 대한 경험적인 연구 결과, 일반적으로 임상적인 의미가 있다고 인정되는 몇 가지 상징들의 예를 영역화하여 아래와 같이 제시한다. 공격심, 경쟁심 : 공 축구공, 그 외 던질 수 있는 물체, 빗자루, 먼지떨이 등 애정, 온화, 희망 : 태양, 전등, 난로 등 열과 빛(빛이나 열이 강력하고 파괴적일 때는 애정이나 양육의 욕구, 증오심을 나타내기도 함) 분노, 거부, 적개심 : 칼, 총, 방망이, 날카로운 물체, 폭발물 등 힘의 과시 : 자전거, 오토바이, 차, 기차, 비행기 등 ..